날씨가 많이 추워졌습니다.
최근 들어 겨울의 매서움을 제대로 느끼고
있는데요. 이 추위가 몰려오기 전에
방문하였던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
고향 강릉 오죽헌에 다녀온 이야기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TQ2Z/btrXo5b8pBP/LTk7JSBkA23fNDyyuK5vv0/img.jpg)
아이들에게는 5만원과 5천원짜리
지폐에 나오는 초상화의 사람들이 살던곳이라고 하면
정말 이해시키기 쉬운데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qVh1/btrXmRflGhr/q1wfjgi8W2mLirnbfcrTB1/img.jpg)
최근에 바뀐 오죽헌은 어떤 모습일지
같이 한번 여행을 떠나봐요.
강릉 오죽헌
주소: 강원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오죽헌
연락처: 033) 660-3301
오픈시간: 09:00~18:00(입장마감 17시)
내비게이션에 “오죽헌”을 검색하면
쉽게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.
평일이라 주차장은 한가하답니다.
강릉의 명소로서 이곳을 방문하는 분들은
한 번쯤 꼭 들러보는 곳이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iOyXD/btrXm7Cfmam/8jIUVdA21TzOW5rsDwSDoK/img.jpg)
주차장 건너편에 무인 매표소가 자리 잡고
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GWrd/btrXnLeoMrN/5IvQum4qbmWlIZn1RferK1/img.jpg)
무인 매표소는 카드 전용으로 운영됩니다.
어른 3천원, 초등학생 천원입니다.
만 65세 이상과 미취학생, 강릉시민은
무료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Z7AQ/btrXm9fI1C0/aA2zYZcjzIZoeC8sICJC30/img.jpg)
입장권은 한 장에 모든 표를 담아주십니다.
실제 방문자는 5명인데 3명은 무료로
이용하게 되었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7hjrD/btrXrTCf2K3/yBOzqCwIcPaYFhwwCbrsOK/img.jpg)
오죽헌 정문 옆에는 5만원과 5천원 지폐의
인물이 태어난 곳임을 암시해 주는
조형물이 자리 잡고 있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w4I41/btrXn6JlrFx/sfxntM8mW0SOzrQrK934A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7zGR/btrXoCgXZxe/kro3IdQFy2DxsiBeFnsvNK/img.jpg)
이제 오죽헌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.
과거에 올 때는 율곡 인성교육관에 출입문이 있었던 거
같은데 그새 많이 모습이 바뀌었습니다.
하늘이 너무나도 푸르고 맑습니다.
하얀 구름이 뭉게뭉게 바람도 선선하게 불고
경내를 산책하기 너무 좋았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tjeX/btrXom6gCzZ/Nclbd4l7kSBi5yBYnuwWXk/img.jpg)
율곡이이 선생님의 동상입니다.
10만 양병설을 주장하기도 하였고
과거시험에서 장원만 9번 해서 당시에는
구도장원공이라고 불렸다고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3co/btrXnIB0EBm/CccVxFDE2gEeKS4oHYXJe0/img.jpg)
오죽헌에 자리 잡은 멋진 큰 나무입니다.
바람에 휘날리는 나무의 모습이 마치 할아버지의
수염이 날리는 모습과 매칭이 되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uoTf/btrXoCgXZSh/DkLzlzbBXiX5jYJ8FJvuV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dLhy/btrXnKGzDA8/VlgfkOGkJt4RaWEBmkkEt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0lck/btrXoD1fnxJ/GMH6vLO5BWodeU2AFpC2hk/img.jpg)
오죽헌의 포토존입니다.
강릉시에서는 5만원과 5천원 화폐 인물의
고향이라는 걸 알려주고 싶은지
이곳에도 인스타 포토존이 자리 잡았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HICm/btrXoCnIRRw/sg2HkRW24h0h96S5PjaDq0/img.jpg)
이제 신사임당과 율곡이이가 태어난 집
자경문을 통해 오죽헌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.
“오죽헌”은
조선 중종 때 건축된 집으로 조선 초기 건축의
묘미를 볼 수가 있답니다.
보물 165호로 지정되었으며
정면 3칸, 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지붕 양식이랍니다.
(설명에는 이렇게 되어있는데 어떤 양식인지는.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UZaj/btrXo5Xvrjd/6e0yG76G4xTX3qklZN0UK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U69D/btrXo45nzZ3/iuTptQmbHRlCceK04DjFzK/img.jpg)
안으로 들어오자 유적 정화 기념비가 보입니다.
거북이 등위에 비가 올라가 있는 형태인데
아마 이곳을 리모델링한 내용을 표기한 거겠지요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FwzF/btrXmSyyP1y/GkvRyShkJFr5IGCKDoJMO1/img.jpg)
자경문 안쪽은 넓은 공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.
오죽헌의 전체 모습을 조망할 수 있지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dyHB/btrXnjCsUeP/AkPyelGIBKzHmdYeaztk8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DfTH/btrXqs5Y9ZE/jFtECkjs2xzuaBPmFukYQk/img.jpg)
문성사와 오죽헌이 위치한 곳으로
올라가 보겠습니다. 계단을 올라 문을 하나
지나면 율곡이이가 탄생하였다는 오죽헌과
1975년 오죽헌 정화사업 때 율곡 이이 선생의
영정을 모시기 위해 지은 사당을
만나볼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4nOw6/btrXmRl6D2S/6kZPpkLPedMBVOShRrTk7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Ue6Nx/btrXn6Jlr1Z/320FF1NKrcc1GWZp8DAKe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oGufX/btrXrOgEndV/0AZy4XLT62RnPTLTk5Kon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9ReoQ/btrXmR0HNxO/7qKwdmcux8PlHRLsz0GzYK/img.jpg)
사임당 배롱나무입니다.
수령이 600년이 넘은 고목으로 오죽헌의
수호목으로 여기어지죠. 꽃이 피는 기간이
100일이나 된다고 하여 백일홍이라고
불리기도 한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7JLE/btrXoD1fuNw/fwtOy5mAURXJQeYLENWTI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4ARE0/btrXrNhKfYj/19x4TwlsOy5BBhzdVbq4O0/img.jpg)
이곳이 바로 문성사입니다.
‘문성’은 1624년 8월 인조대왕이 율곡 선생에게
내린 시호이며 이당 김은호가 그린
율곡 이이 선생의 영정을 볼 수가 있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XYjW/btrXo4K2F7a/aTKaGXmuYWBtH1823k2Mx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WfHby/btrXnKzOouc/ws47KPRK5V7sy38pfHsdZ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ob9C/btrXqCHxtM2/lSOCHYBVRCkNXXO2TUJue1/img.jpg)
문성사 바로 앞쪽에는 ‘오죽헌’이 있습니다.
신사임당이 용꿈을 꾸고 율곡이이 선생을
낳았다고 하여 몽룡실이라고 부르는 곳입니다.
신사임당의 영정을 이곳에 모시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jfV6A/btrXn6CAxxG/QuAYYvcXEsoyEJqRZ0QEv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2iXf/btrXm7I0UNu/bHsWdWoo3Cp6kazQfakEc1/img.jpg)
문성사에서 바깥채와 안채로 향하는 길에는
멋진 대나무숲이 자리 잡고 있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XNVqR/btrXnjJd9hP/RKeqlkQpjinR3dA0cyLnt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zUSo/btrXmI3NSMI/P76PHl2KlzgiaSD008RNak/img.jpg)
오죽헌의 뒤편으로 보이는 쓸쓸한
나무 한 그루. 저 멀리 보이는 맑은 하늘과
대조되어 보이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kDg3/btrXnucUQA4/K1w63hkf89AEclnm3JrMA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qX71/btrXo6a1oD3/J5TL5vaBLmyKAK76p76Aq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pKPg/btrXrOAWFHN/CuB2UXTKB78Uv2sCBoWOi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4LE8/btrXnHC4Ovj/kKVcFEbyDpnEkhrPPknpBk/img.jpg)
안주인이 생활하던 안채와 바깥주인이
거처하던 사랑채입니다. 지금의 모습은
1990년대에 복원된 건물이라고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i212/btrXn7nYS34/KNt00KyUKwiNsLU8SHQ3I1/img.jpg)
운한문을 통과하여 어제각으로 가보려고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jVOr/btrXmQ8yjy8/fWJAluDcZ8mTuFnTGs5D0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YGVW/btrXm9mymU2/QkSeeDHa7cHsgBwWvgGaT0/img.jpg)
어제각은 율곡이이가 지은 학문서인 격몽요결과
어린 시절 사용하는 벼루를 보관하기 위해
지었다고 합니다. 어명으로 지었다고 하는데~
율곡이이를 참으로 아끼셨나 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sWGg/btrXm6DnnYU/Z0plOolaDF9VRxoxIbNSFk/img.jpg)
이제 2012년에 재건축한
“율곡기념관”으로 가보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wqgu/btrXmQ1ONEC/lDsvng0xlqN7KV3bxMR4S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vSNlx/btrXo4RO3VL/y44qHWRzkcm2fdtRayPpyk/img.jpg)
기념관에는 오죽헌 소장 유물에
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증한 유물을 더한
신사임당, 율곡 이이, 옥산 이우, 이매창,
고산 황기로의 작품과 이우 후손 관련
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pRC8/btrXnI9MD1T/OGxBMvZhTwyvDFqKzWKXm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01Uy/btrXnI21Oyh/jKyrhkypSiyM0wnFKt7KA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HPYD/btrXqD0JYKI/OGndhzj5kM19qZ4BmjhDe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L0Wj/btrXm6J6oy5/k4yHHKcaILK4CdhBw5gAJ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idh1/btrXnHQCrT1/8GOtKRViWs5KO9C1WMVyD0/img.jpg)
율곡기념관을 둘러보고 밖으로 나왔습니다.
깊어가는 계절 변화에 나무들의 색상도
붉게 변해버렸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gNj5/btrXqsETkXK/ip9lvAB3iTRierrwpDEv6k/img.jpg)
오죽헌의 또 하나의 뷰포인트입니다.
바닥에 발자국과 바로 옆에는 오천원 화폐의
모양이 보이는데요.
바로 이곳에 서면 오천원 뒷면에 나온
오죽헌의 모습을 찍은 위치라고 하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jaFr/btrXrMXqtZn/xnsRMkfKG2W1C1T3QSW8e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myTa/btrXqtw32xS/w38FaRU89eQ8nPj7F7gwo1/img.jpg)
오죽헌의 남문인 ‘입지문’을 통해
밖으로 나와봅니다. 율곡 이이의 저서인
“격몽요결”의 첫 장인 입지장에서 따온
이름이라고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p2Hs/btrXmRNcTHG/XO7BAYGssKrNXqTO8NJsc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eQZn/btrXmIbBoLn/7OGcIWE4VihdT1b90aklwK/img.jpg)
어랏~장독대와 천하대장군이 여기에.
갑자기 오죽헌에 이런 가정집과 같은 풍경이
펼쳐지니 신기하기는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2ubV/btrXpbpTtBy/2ZKy5BdAy7eC3DSywwugi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UT3l/btrXrNIOnsL/aaLJcINaykrwvAQW1rcPr1/img.jpg)
아마도 오죽헌 전체를 책임지는
장독대가 아니었을까 하는 개인적인
추측을 해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LX5q/btrXnHXneYZ/pDdgIslKblYR15KyLFvXs1/img.jpg)
율곡 이이의 어머니 신사임당의 동상입니다.
모든 어머니들의 표본이 아닐까 하는
생각 드는 곳이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7ZjC/btrXmIQe8Rs/H8wKT3KTfAeyUwNRCkZA31/img.jpg)
오랜만에 들러본 강릉 오죽헌 이야기였습니다.
예전에는 그리 크지 않았는데 규모도 커졌고
깨끗하게 정화사업이 이루어져서
가볍게 산책하면서 둘러보기 좋았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d9AYo/btrXo4EhRI8/wndkLl7Wx2Lv0xIm3KC8jk/img.jpg)
신사임당과 율곡이이의 생가.
아니 그것보다는 5만원, 오천원의 배경이되는
인물을 보러 강릉 오죽헌에 온다면
역사 공부에 많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?
'◐ 국내 여행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여행] 대전으로 떠난 비즈니스 출장 대전 라마다 호텔 이용기 [534] (21) | 2023.03.03 |
---|---|
[여행] 인천공항 제 1터미널 한국 문화거리 왕의 무사 운검을 만나다 [526] (15) | 2023.02.15 |
[여행] 경남 산청 여행, 지리산 청정수로 만든 산청 수제 맥주 전문점 [515] (16) | 2023.01.26 |
[여행] 행주산성, 임진왜란 3대 대첩 중의 한곳 행주대첩의 현장을 찾아가다 [512] (14) | 2023.01.20 |
[여행] 강원도 강릉 중앙시장과 고향 먹거리 [507] (13) | 2023.01.11 |